본문 바로가기
STUDY FOR ME/콘텐츠 경제학

제3장 미디어/콘텐츠 시장

by ooook 2022. 3. 22.
728x90

 

1. 수요변화

수요의 다른 결정요인들인 소득 혹은 대체재의 가격 변화 => 수요변화(change in demand)

수요변화 vs. 수요량변화

-수요변화 =>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

- 수요량변화 => 수요곡선 상의 운동

 

수요 증가 =>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 (모든 가격대에서 구매 증가)

수요 감소 => 수요곡선을 왼쪽으로 이동 (모든 가격대에서 구매 감소)

 

 

2. 수요변화의 원인 / 수요 함수

수요관련 상품의 가격(x1)

• 1인당 소득(x2)

잠재구매자의 수(x3)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x4)

기호(x5)

y(수요량) = f(x1, x2, x3, x4, x5)
 

3. 수요관련 상품의 가격

□ 대체재

동일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대안적 재화

상품에 대한 수요와 대체재의 가격변화 간에는 정적인 관계

: 삼성 갤럭시폰 vs. 애플 아이폰

: 조선일보 vs. 동아일보 vs. 한겨레신문

 

보완재(complement)

효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함께 사용하는 재화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와 보완재 가격변화 간에는 부적인 관계

: 컴퓨터와 인터넷 접속

 

□ 수요의 교차탄력성(ηxz):

• Z 대비 X 수요의 교차탄력성(ηxz)은 만약 XZ가 대체재이면 양의 부호를 가지고 보완재이면 음의 부호

 

TV 광고에 대한 신문 광고 수요의 교차탄력성

케이브와 스완(Cave & Swann, 1986)의 연구

• TV 광고에 대한 신문 광고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0.25라고 추정

적용: KBS의 수신료 인상에 대한 신문사의 입장

 

TV 광고에 대한 신문 광고 수요의 교차탄력성

케이브와 스완(Cave & Swann, 1986)의 연구

• TV 광고에 대한 신문 광고 수요의 교차탄력성이 0.25라고 추정

적용: KBS의 수신료 인상에 대한 신문사의 입장

 

□ 문제: 영화상영관 vs. VOD, 대체재? 혹은 보완재?

 

 

4. 1인당 소득

□ 정상재(normal goods)

소득과 정적으로 연결된 재화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

: 1998, 디즈니의 아시아 지역에서의 낮은 홈비디오 판매는 해당 지역에서의 소득 저하에 기인(McClennan, 1998).

 

□ 수요의 소득탄력성(ηy)

 
ηy는 정상재의 경우 양의 값, 열등재의 경우 음의 값, 사치재(luxury good)는 높은 정적 소득탄력성
사치재 vs. 필수재

- 미디어 상품의 경우?

 

TV 광고에 대한 수요의 소득탄력성

피콕위원회가 위임한 연구(1986)

• TV 광고에 대한 수요의 소득탄력성을 2.0 근방으로 추정

방송사들이 얻는 광고 수입은 불안정하다는 점을 시사

 

□ 미국 장거리 전화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소득탄력성

웬더스(Wenders, 1987, p.53)에 의해 정리

장거리 전화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평균 소득탄력성은 단기적으로는 0.39였고 장기적으로는 1.33

 

□ 사례: 소득과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5. 잠재 구매자의 수 / (잠재)시장규모

□ 기본 원리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시장안의 소비자의 수가 많을수록 수요는 증가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선진국인 미국이 영화, TV 프로그램, TV 수상기, 비디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다른 많은 미디어 산업 관련 제품에 있어 가장 큰 국내 시장을 가지고 있음(Hoskins, McFadyen, & Finn, 1977, p.39).

 

1인당 소득도 중요

  훨씬 더 많은 인구를 가진 인도와 중국이 미디어 상품을 위한 더 큰 시장을 구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1인당 소득때문임

 

□ 생산재의 경우

  (다른 회사에 팔리는 상품인) 생산재(producer goods)의 경우, 인구수 뿐 아니라 잠재적인 구매 기업의 수에도 영향을 받음

  : 종편 채널의 허가와 TV드라마 수요

 

6.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

만약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정이 연기될 수 있다면, 현재 시점의 수요는 미래 가격수준에 대한 기대에 의해 영향을 받음

미래 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기대할 경우 (혹은 더 좋은 상품신뢰성 혹은 특성을 기대할 경우) 일부 사람들은 현재의 구매를 연기하거나 줄임

• “컴퓨터를 사기에 적기란 결코 없다”: 초기채택자(early adopter)의 경우 이러한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받지 않음

 

□ 적용: VR HMD 구매 지연의 원인과 대응책?

 

 

7. 기호(Tastes)

□ 시간에 따른 기호 변화

소비자 기호는 시간에 따라 변함

: (미국) 1950년대 서부영화와 2차 세계대전 영화
: (한국) 1990년대 조폭영화, 트렌디 드라마 / 2000년대 막장 드라마

□ 국가별 기호 차이

기호는 상이한 국가와 지역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다름

시청자들은 일반적으로 외국 프로그램에 비해 자국 TV 프로그램을 선호(Tracy & Redal, 1995)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

 

□ 적용: 문화콘텐츠 기호를 어떻게 측정?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Masculinity
-Avoidance of Uncertainty
-Long term Orientation
-Indulgence

*참고: Geert-hofstede.com

 

 

 

8. 공급변화

공급량 vs. 공급

공급변화의 결과

 

 

9. 공급변화의 원인 / 공급함수

투입요소가격(prices of inputs) (X1)

기술수준 (X2)

공급자 수 (X3)

• Y = f(X1, X2, X3)

 

10. 투입요소 가격

투입요소가격의 인하는 공급을 증가시키고, 요소가격의 인상은 공급을 감소시킴

: 2003년 이전 여러 해에 걸친 (미국 달러 대비) 캐다나 달러와 호주 달러의 가치하락

 

11. 기술수준

기술변화는 => 예전보다 더 적은 요소를 사용해서도 동일한 수준의 산출량을 유지, 생산과정에서 비싼 요소를 싼 요소로 대체함으로써 생산비용을 감소

기술변화는 공급을 증가시키고, 공급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킴

: 아마존(Amazon.com)의 서적 유통 혁신

: 음악 배급에서 아이튠(iTune)의 유통 혁신

 

12. 공급자 수

□ 공급자 수 변화의 효과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 => 공급자 수 증가 => 공급량을 증가 => 단기 공급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

기업의 시장 탈퇴는 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

만약 기존 기업이 양(positive)의 경제적 이윤을 벌고 있다면, 기회비용은 다른 시장에 비해 더 커지며 새로운 기업들이 해당 시장으로 진입

 

□ 적용: 방송시장에서의 경제적 이윤 보장

방송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규제받는 산업 => 상업 방송은 매우 높은 이윤을 얻음

톰슨(Lord Thomson)은 스코틀랜드 상업방송 면허를 수여받은 후 다음과 같이 말했음: “그것은 당신 자신의 돈을 찍을 수 있는 면허를 가지는 것과 같다!”(Braddon, 1965, p. 240).

영국, 캐나다, 호주 등 대부분의 국가들에서의 TV 방송에 대한 규제는 새로운 TV 방송사의 시장 진입을 금지하거나 제한하였고 기존 방송사에게 양의 경제적 이윤을 보장

그 대가로 방송사들은 증가된 이윤의 상당부분을 국내 제작 및 편성에 쓸 것으로 기대됨

 

 

13. 상대적 불변성 원리(Principles of Relative Constancy)

맥콤(McComb, 1972)에 의해 제시

매스 미디어에 대한 지출이 전체 국민소득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한 비율을 차지함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00이라는 점을 시사

미디어의 성장은 올드 미디어의 쇠퇴를 가져온다고 시사

실증연구(지지): 193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시청각 미디어에 대한 지출 증가는 인쇄 미디어에 대한 지출 감소를 거의 정확하게 상쇄하였다.
이론적 근거 비판: 엥겔지수 적용?
실증연구(반대): 매스미디어에 대한 소비자 지출의 비율은 19751인당 가처분 소득의 2.15%에서 19873.69%로 증가(LacyNoh, 1997) (*이 기간 동안 VCR과 케이블TV가 확산된 것에 기인)
실증연구(반대): 국가간 비교? (Chang & Chan-Olmsted, 2005)
 

14. 보조금 배분

□ 보조금 배분의 수요와 공급

캐나다, 호주, 프랑스와 같은 많은 국가들이 영화와 TV 프로그램 제작을 보조

보조금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능가: 보조금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자원을 제외하고 보조금 수혜자가 지불하는 금액이 없기 때문임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쟁 프로젝트 간에 재원을 배분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

□ 선착순 원칙의 적용

캐나다 TV케이블제작펀드(Canada Television Cable Production Fund)

이 방식으로 인해 보조금을 받을 충분한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TV 프로그램들이 보조금을 받는데 실패

 

요약

  • 수요변화는 자체 가격을 제외하고 수요 결정요인이 변화할 때 발생
  • 수요증가는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균형가격을 인하하고 균형거래량을 증대
  • 수요감소는 수요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균형가격을 인상하고 균형거래량을 감소
  • 수요변화는 수요 관련 상품의 가격, 1인당 소득, 잠재구매자의 수, 기대되는 미래가격, 그리고 소비자 기호와 같은 독립변수의 변화에 의해 초래
  • 공급변화는 자신의 가격을 제외하고 공급 결정요인의 값이 변할 때 발생
  • 공급변화는 투입요소가격, 기술, 혹은 공급자 수의 변화에 의해 초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