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FOR ME/콘텐츠 경제학

제 5 장: 생산과 비용

by ooook 2022. 3. 22.
728x90

O 지난 시간

-2: 수요, 공급, 시장균형
-3: 수요함수, 공급함수
-4: 수요함수 => 소비자행동
- 5: 공급함수 => 공급자행동

 

O 개요

- 분석 대상: 기업

- 기업의 목적 가정: 이윤극대화

- 이윤극대화를 위해 총비용 극소화

- 생산요소: 최적의 투입 조합 찾기

 

1.단기, 장기, 초장기

□ 단기(short-run)

자본설비(capital equipment)와 공장과 같은 투입 수준을 변화시키기에는 불충분한 기간

□ 장기(long-run)

모든 생산요소들이 변화될 수 있기에 충분한 기간이지만 기본적인 생산기술은 주어짐

초장기(very long-run)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 역시 변화할 수 있는 기간

 

2.단기 생산

□ 생산함수

각 투입물의 조합을 이용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생산할 수 있는 상품의 최대량을 보여줌

□ 수확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Returns)

가변요소를 일정 수준 투입한 후에, 다른 요소의 양은 고정된 상태에서
  가변요소를 한 단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이전보다 총생산에 더 적게 기여

 

3.단기 비용

비용함수(cost function): 최소생산비용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표시

총가변비용(TVC: Total Variable Cost)

해당 가변요소를 투입하는 것과 연관된 총비용

총고정비용(TFC: Total Fixed Cost)

단기에 고정되어 있는 요소와 관련된 비용

□ 단기한계비용(Short-Run Marginal Cost: SMC)

산출 1단위 변화에 대응하는 총비용의 변화

□ 평균가변비용(AVC)

• TVC/Q이며 여기서 Q는 산출

□ 평균고정비용(AFC)

• TFC/Q이다.

• TFC는 일정하기 때문에, Q가 커질수록 AFC는 작아짐

□ 평균총비용(ATC)

• AVC +AFC 혹은 TC/Q이다.

 

4.장기 생산과 비용

장기는 모든 생산요소가 변화하기에 충분한 기간이지만, 기본적인 생산기술은 변하지 않음

주요 내용

  1) 요소 혼합의 선택

□ 요소 혼합의 원칙

기업은 주어진 산출을 최소비용으로 생산하거나, 동일하게, 주어진 총비용 수준에서 산출을 최대화하기 원함

각 요소에 사용되는 마지막 달러가 총산출에 동일한 추가를 하게끔 투입을 혼합함으로 성취

• MPL/PL = MPK/PK = •••

 

  2) 규모에 대한 수확과 장기에서의 생산

□ 요소가격 변화의 효과

한 요소 가격의 변화는 요소 대체를 초래

기업은 더 비싼 요소를 이제 상대적으로 더 값싼 요소로 대체

) 애니메이션 영화의 최근 증가는 부분적으로 인기 영화배우들의 출연료가 급격히 높아진 것으로 설명

 

□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constant returns to scale)

만약 모든 투입의 X% 증가가 산출을 X% 증가시킨다면

 

□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

만약 모든 투입의 X% 증가가 산출을 X%보다 더 많이 증가시킨다면

-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3) 규모에 대한 수확과 장기 비용

 

□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규모의 경제)의 이유

기술적 경제(technical economies): 조립라인을 통한 생산은 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생산량에 도달했을 때에만 가능

차원적 관계(dimensional relation): 콘서트 홀 혹은 경기장의 용량은 사용되는 토지의 크기에 정비례 이상으로 커짐

전문화(specialization): 크기의 증가는 생산요소의 더 큰 전문화를 가능하게 함

경영적 경제(managerial economies): 한 해에 40편의 영화를 배급하는 영화 스튜디오는 20편을 배급하는 것과 비교해서 두 배 크기의 배급 부서를 필요로 하지는 않음

 

□ 규모에 대한 수확체감(decreasing returns to scale)

만약 모든 투입의 X% 증가가 산출을 X% 미만으로 증가시킨다면

규모의 불경제(diseconomies of scale)

규모가 커지게 되면 종종 조정과 커뮤니케이션 문제와 맞부딪침

: 1970년대 PC의 잠재력을 인식하는 데 IBM이 실패한 사례(Fraser, 1986)

 

 

  4) 미디어 상품에서의 규모에 대한 수확

□ 수확체증

통신 및 케이블 회사의 경우 자본설비의 분리불가능성(indivisibility)에서 발생

엔터테인먼트상품 및 문화상품에서의 규모의 경제는 높은 초판비용과 낮은 복제비용이라는 경제적 특성에서 발생 = 낮은 한계 비용

호스킨스(1997)은 미국 한 시간용 TV 드라마를 영국 BBC에 판매할 때의 가격은 대략 $100,000이며 캐나다 CTV에 판매할 때의 가격은 대략 $60,000이라고 보고

 

  5) 국제 공동 제작과 규모에 대한 수확

한 국가 이상에 있는 수용자에게 매력적이게 만드는 속성을 가진 프로그램 혹은 영화를 공동으로 제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외국 파트너와 협력관계를 형성하는 것

국제 공동제작이 점차 TV 프로그램과 영화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방식이 되고 있음

파트너들은 프로그램 혹은 영화의 초판을 제작하기 위한 높은 비용을 공유하기 위해 재정적 자원을 공동출자하며, 이후 앞서 밝혀진 거대한 규모의 경제에 기반을 두고 매우 낮은 한계비용으로 다른 국가시장을 위해 추가 복제본을 제작

 

  6) 합병과 규모의 경제

일반적으로 단지 하나의 TV 프로그램 혹은 영화를 위한 임시 협력관계인 공동제작과 달리, 합병은 다른 기업들을 영속적으로 합치는 것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이 동일한 종류의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포함한 많은 (인수)합병의 주요 동기 / ) SM엔터테인먼트 + 키이스트

: 1987(소니에 의한 합병 전에) 메이저 할리우드 스튜디오인 콜롬비아(Columbia)는 독립 스튜디오인 트라이스타 픽쳐스(TriStar Picture)와 합병

 

  7) 범위의 경제

만약 동일한 기업 내에서 두 개의(혹은 그 이상의) 상품을 생산하는 총비용이 두 개의(혹은 그 이상의) 상호연결되지 않은 기업에서 이들 상품을 독립적으로 생산하는 비용보다 더 적게 드는 현상

□ 범위의 경제가 발생하는 이유

상품들이 연결되어 생산

하나의 상품이 본질적으로 다른 상품의 부산물일 수 있음

 

  8) 학습곡선

 

  9) 거래비용과 생산조직

거래비용은 기업 존재의 이유(Ronald Coase, 1937)

• 1930년대와 1940년대 초반, 영화산업은 대량생산 방식을 채택하여 거대하고 수직적으로 통합된 할리우드 스튜디오를 통해 운영

• 1945년 이후, 스튜디오 틀 내에 있던 활동들이 점차 외부로 이동(영화별 계약으로 대체)

 

5. 초장기

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가능성이 변할 수 있는 기간이다.

새로운 생산기술 혹은 새로운 제품의 형태

변화는 발명과 혁신을 모두 요구

발명(invention)은 새로운 어떤 것을 창조하는 행위

혁신(innovation)은 작동하는 새로운 생산기술 혹은 새로운 제품을 적절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것

(발명): 움직이는 그림을 캡처해서 공기 중으로 사람들의 가정에 있는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것을 현실화한 것과 이것이 가능하도록 한 이론적인 토대

(혁신): 이러한 발명이 현실화될 수 있게 카메라, 전송장비, TV 수상기를 개발한 것

 

요약

  •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고자 한다고 가정
  • 단기는 자본설비와 공장과 같은 요소의 투입수준을 변화시키기에 불충분한 시간
  • 단기에서의 생산과 비용은, 특정한 수준 이상으로 가변요소를 투입한 이후에는 다른 요소의 투입량이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 단위가 이전 단위에 비해 총생산 혹은 총산출에 더 적게 기여한다고 말하는 수확체감의 법칙에 의해 지배받음
  • 장기는 모든 생산요소가 변하기에 충분한 기간이지만, 기술의 상태는 주어짐
  • 장기에서, 선택된 요소 조합은 각 투입에 쓰여지는 마지막 달러가 총산출에 동일한 추가를 하는 경우
  • 만약 모든 투입을 X% 증가시키는 것이 산출을 X% 이상 증가시킨다면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을 가지며, 모든 투입을 X% 증가시키는 것이 산출을 X% 증가시킨다면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을 가지며, 산출을 X% 미만으로 증가시킨다면 규모에 대한 수확체감을 가짐
  • 대부분의 미디어 상품은 두 번째 판 혹은 추가 판의 비용이 초판 생산 비용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에 규모에 대한 수확체증(또는 규모의 경제)을 보임
  • 만약 한 회사에서 두 종류의 (혹은 그 이상의) 상품을 생산하는 총비용이 두 개의 (혹은 그 이상의) 관련이 없는 기업에서 독립적으로 생산하는 총비용보다 더 적을 경우 범위의 경제가 존재
  • 학습곡선은 장기에 적용될 수 있음
  • 학습곡선에 따라 한 회사의 축적된 산출이 증가할수록 업무에서 얻는 학습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평균비용이 감소
  • 내부거래에서 시장거래로 전반적인 흐름이 이동
  • 초장기는 기업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이 변할 수 있는 기간
  • 기술적 발전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행위인 발명과 하나의 아이디어를 새로운 생산기술이나 새로운 상품으로 발전시키는 행위인 혁신으로부터 발생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