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기업이론 소개
2.산업조직 분석틀
3.시장구조
4.행위
5.성과
6.집중도 측정과 산업조직론 분석틀 적용의 함정
1. 기업이론 소개
O 기업이론(theory of the firm) 개요
•회사의 목적이 이윤극대화라고 가정
•기업과 산업의 행위와 성과를 설명하고 예측
•기업과 산업의 행위와 성과가 시장의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인정
O 시장구조에 따른 기업이론의 4가지 변형
•완전경쟁
• 독점적 경쟁
•과점
•독점
O 각 시장구조의 특성
O 미국 미디어 산업의 시장구조
![](https://blog.kakaocdn.net/dn/kVxXK/btryzoVyK02/bQa6rnfJakaki5IyOEwhkk/img.png)
2. 산업조직 분석틀
•기본조건 => 구조 => 행위 => 성과
(*<그림 7-1> 산업조직분석틀)
-Feedback
-구조 중심 접근 vs. 행위 중심 접근
•기본조건
-수요
-비용
-기술
-공공정책
•구조
-시장집중도
-상품차별화
-진입장벽
•행위
-가격 행위
-상품 전략
-광고 전략
-투자 전략
-연구 개발
-협동 전략
-가격 행위
-상품 전략
-광고 전략
-투자 전략
-연구 개발
-협동 전략
•성과
-배분효율성
-생산효율성
-기술진보
-형평성 혹은 공평성
-문화적 목적
-관점의 다양성
-배분효율성
-생산효율성
-기술진보
-형평성 혹은 공평성
-문화적 목적
-관점의 다양성
3. 시장구조
•<그림 7.1>에서,산업조직모형은 시장구조를 시장집중도, 상품이 차별화되는지 혹은 동질한지(동일한지) 여부,
진입장벽이 있는지 여부 측면에서 규정
진입장벽이 있는지 여부 측면에서 규정
•이러한 방식은 시장집중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다르게 적용했을 뿐 기업이론의 방식과 거의 동일
•즉, 기업이론에서는 시장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산업을 많은 기업, 소수의 기업, 하나의 기업으로 분류하는 것을
산업조직모형에서는 시장집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대체
산업조직모형에서는 시장집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대체
•많음과 소수 간의 차이는 부정확하며 우리가 분석하고자 하는 실제 산업을 분류하는데 한계가 존재
•회사들이 격렬하게 경쟁할 가능성은 기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뿐만 아니라
기업 크기의 동질성이 커짐에 따라서도 증가
기업 크기의 동질성이 커짐에 따라서도 증가
•따라서, 산업조직론은 기업의 수와 함께 상대적 크기도 함께 요약하는 집중도 척도들을 개발
3.1 집중도
O 집중도 지표의 종류
•4개 기업 집중도(CR4)
•8개 기업 집중도(CR8)
•CR1, CR3
•허쉬만-허핀달 지수(HHI)
예) 5G 서비스 시장점유율 (2020년 1월)
- SKT 45%, KT 30%, LGU+ 25%
3.2 제품 차별화
O 제품 차별화 개요
•차별화로 추가된 가치(추가된 속성에 대해 소비자들이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 증가분)이 이러한 차별화된 특성을 공급하는 비용보다 더 클 경우
•제품 차별화는 브랜드 충성도를 초래
•만약 제품 차별화가 없다면, 해당 제품은 밀, 석탄, 철광석과 같은 필수재(commodity)
•영화, 텔레비전, 책, 잡지, 신문, 음악과 같은 창의적인 산업은 차별화가 더 쉬움: 모든 새로운 영화 혹은 책은 차별화된 상품
3.3 진입장벽
O 진입장벽의 종류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는 극단적인 경우 자연독점으로 이어짐
• 학습곡선경제(learning curve economics)
•특허나 저작권
•공공정책
4. 행위
•가격행위
•상품전략
•광고전략
•투자전략
•연구개발전략
•기업간 협력
O 가격설정
• 완전경쟁: 가격순응
•독점적 경쟁: 유사한 대체재로 인해 제한적인 재량권
•과점: 경쟁자들을 감안한 전략적 행위
•독점: 가격에 대한 전적인 재량권
5. 시장 성과
*이윤(profit): 개별기업 차원
O 배분효율성 (allocative efficiency)
•자원이 최적의 방식으로 상이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에 배분될 때 존재
•소비자들이 추가 단위에 대해 지불하고자하는 가격이 추가 단위를 생산하는 비용(한계비용)과 동일해지는 지점까지 소비자들이 원하는 재화와 서비스에 자원이 배분되는 것을 의미
O 생산효율성 (productive efficiency)
•산업의 산출이 기술수준을 고려할 때 최저의 총비용으로 생산될 때 달성
O 기술진보 (technological progress)
•발명과 혁신을 포함
•생산성과 성장의 핵심이다
•생산과정과 관련된 기술진보: 새로운 과정이 동일한 자원으로 산출의 증가를 가져올 때 발생
•제품과 관련된 기술진보:
이윤을 얻을 수 있는 가격으로 팔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속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신제품의 생산
이윤을 얻을 수 있는 가격으로 팔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 속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신제품의 생산
O 형평성 (equity)
•소득분배효과 관련
•가치판단을 포함
•정적인 경제적 이윤은, 장기적으로, 매우 경쟁적인 조건에서의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할 수 있는 시장 지배력을 가진 회사로부터 발생
•이 결과 경쟁적인 조건에서 소비자가 획득할 수 있는 이윤을 오히려 생산자들이 획득하면서 번영
O 문화적 목적 (cultural objectives)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문화적 목적은 방송, 영화, 출판, 음악 분야에서 중요하게 간주
•국가의 건강을 위해서 시민들이 공공 이슈와 사건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 사람들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
•방송 분야에서 정부보조와 자국 콘텐츠 의무와 같은 규제는 문화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빈번히 사용
•미국은 차별적으로 이러한 산업을 문화산업보다는 연예오락산업으로 간주: 하지만 방송과 신문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도 외국인의 소유를 제한
O 관점의 다양성
•민주사회에서 미디어 산업의 바람직한 목적으로서 보편적으로 인정
•정치적 시스템이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폭넓은 소식통과 의견에 노출될 필요
6. 집중도 측정과 산업조직론 분석틀 적용에 있어서의 함정
O 산업의 정의가 중요
• 미국 신문의 경우
• 약 1,500여개의 일간신문이 제작되며,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많은 회사가 있는 독점적 경쟁 구조로서 낮은 집중도를 보임
•좀 더 검토해 보면, 동일한 소유구조 하에서 복수의 신문을 발행하는 Knight-Ridder와 같은 체인(chain)이 드러남
•이러한 체인을 고려하고도, 미국 신문 산업은 상당히 경쟁적이라고 결론내릴 수도 있음
•하지만 일부 신문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전체 미국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지 않음
•자신의 시장에서 경쟁이 없는 지역지를 독점사업자로 간주하여야 하는가? 여기에 대한 답은 산업이 정확하게 정의되는지에 달려있음
•교차탄력성을 측정하는 것은 대체가능성의 정도를 보여줌
O 상이한 수평적 행위 구분
•예를 들어, 하나의 영화산업이 있는지, 혹은 영화 제작, 영화 배급, 영화 상영의 복수의 영화산업이 존재하는지
•할리우드 스튜디오는 수직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상이한 경쟁조건 하에서 상이한 활동
•영화 배급은 과점이지만, 영화 제작은 독점적 경쟁
O 디지털화 융합
•산업의 경계를 흐림
•산업조직론 접근에서 중요한 산업분야 구분이 의미를 잃어가고 있음
O 데이터의 제약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국가 단위로 수집되며 시장의 범위를 국가로 보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 많은 시장이 지방, 지역, 혹은 세계
요약
•기업이론과 산업조직론
•기업이론: 이윤극대화가정, 4개의 시장구조
•산업조직론: SCP 모형
•시장구조
•행위
•성과
728x90
'STUDY FOR ME > 콘텐츠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9강: 미디어 경제학독점적 경쟁과 과점 (0) | 2022.06.01 |
---|---|
제 8강: 완전경쟁과독점 (0) | 2022.06.01 |
제 6강 : 완전경쟁과 독점 (0) | 2022.04.04 |
제 5 장: 생산과 비용 (0) | 2022.03.22 |
제 4장: 소비자행동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