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요의 개념
□ 개별수요(individual demand)와 시장수요(market demand)
• 개별수요
• 시장수요
2. 수요량과 가격
□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 수요의 법칙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 소득효과(Income Effect)
□ 수요법칙을 무시한 사례: 저작권 피해 추산 과장
• 미국음반협회(RIA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3. 수요표와 수요곡선
□ 수요표
<표> 다양한 가격에서 구매된 영화티켓 수
가격 | 6달러 | 8달러 | 10달러 | 12달러 | 14달러 |
수요량 | 90,000 | 80,000 | 70,000 | 60,000 | 50,000 |
4.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탄력성의 해석
• 1보다 클 경우 (η > 1) 탄력적
• 1보다 작을 경우 (η < 1) 비탄력적
□ 가격탄력성의 활용
• 수요가 탄력적: 가격인하 vs. 가격인상
• 수요가 비탄력적: 가격인하 vs. 가격인상
5. 가격탄력성 추정치
□ 사례: 문화서비스 가격탄력성 (한국)
• 문화시설서비스: -2.690
• 공연서비스: -2.458
• 오락운동서비스: -0.786
6. 가격탄력성과 의사결정
2003년 9월, 유니버설(Universal)사는 음악 CD의 가격을 18.98달러에서 12.98달러로 인하한다고 발표
• 1989년 전에는, 80달러 정도의 고가 전략이 일반적인 규범이었지만, 1989년에 워너브라더스(Warner Brothers)가 배트맨(Batman) 비디오를 24.99달러에 판매
• 매우 탄력적인 수요는 문제를 발생: 스프린트 캐나다의 비피크(off-peak) 시간대에 최대 월 20 캐나다달러로 무제한 장거리통화를 제공하는 정책
• 수요의 가격탄력성 개념은 또한 공공정책과도 관련: BBC가 광고를 제공하지 말 것을 권고한 피콕위원회(Peacock Committee)의 제안
7. 공급의 개념
□ 개별공급과 시장공급
• 개별공급
• 시장공급
• 공급량은 가격과 정적으로 연결 (공급의 법칙)
• 기업들은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을 만큼의 수량을 공급
• 기업들은 추가 수입이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때까지만 추가 단위를 공급
8. 공급표와 공급곡선
□ 공급표(Supply Schedule)
<표> 다양한 가격에서 공급되는 영화 티켓의 수
가격 | 6달러 | 8달러 | 10달러 | 12달러 | 14달러 |
공급량 | 56,000 | 63,000 | 70,000 | 77,000 | 84,000 |
9. 공급탄력성
η(s)= 공급변화율/가격변화율
• 이 비율은 (변화 전과 후) 공급량의 평균과 (변화 전과 후) 가격의 평균을 이용하여 계산
10. 시장가격의 결정
□ 산업구조의 중요성
요약
- 개별수요는 한 개인 혹은 가구가 사고자 하는 상품의 단위 수
- 시장수요는 시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사고자 하는 상품의 총량이며, 개별수요의 합
- 수요법칙은,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가 감소하는 것을 말함
- 가격변화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를 발생시킴
- 수요곡선은 음의 기울기를 가진 직선 그래프의 형태로 표현
- 수요의 가격탄력성 ŋ은 가격에 대한 수요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도구
- 부호를 무시할 경우, ŋ > 1 이면 수요는 탄력적이며, n < 1 이면 수요는 비탄력적임
- 개별공급은 해당 기업이 공급하는 양
- 시장공급은 특정한 상품을 생산하는 모든 기업들이 공급하는 양
- 공급곡선은 양의 기울기를 가짐
-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민감도는 공급의 가격탄력성으로 측정
- 균형가격과 균형공급량은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의 가격과 공급량의 조합
'STUDY FOR ME > 콘텐츠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5 장: 생산과 비용 (0) | 2022.03.22 |
---|---|
제 4장: 소비자행동 (0) | 2022.03.22 |
제3장 미디어/콘텐츠 시장 (0) | 2022.03.22 |
제1장 미디어 경제학:도입과 개관 (0) | 2022.03.22 |
미디어콘텐츠 시장 속 규모의 경제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