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을 찾기 시작한 사람들
홈파티와 홈술 문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 와인 시장 역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관세청은 올해 8월까지 집계된 국내 와인 수입액은 약 3억7,045만달러 수준으로 지난해 기록한 3억3,000만달러를 이미 넘어섰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uy1m/btro38mGaxy/2j8rK5hNTzRjaGbW5WDxA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pm9K/btro7DsVXxK/B262ALn0HWqIvOdaItIv7K/img.jpg)
국내 와인 시장의 생태계 변화
최근 수입 와인을 구매한 소비자 가운데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사람의 비중이 약 72.8%로 나타나기도 했는데요. 현재 대형마트는 강력한 구매력을 바탕으로 와인의 가격을 최대한 낮추는 전략을 활용해 고객의 유입을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2008년에 설립한 주류 자회사 신세계L&B의 자체 주류전문점 ‘와인앤모어’ 출점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있는데요. 업계에서는 신세계L&B가 연말까지 약 2천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보틀벙커’는 ‘와인의 모든 것! 보틀벙커에 없으면 어느 곳에도 없다’는 콘셉트로 와인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인 전문점이다. 1층 전체 공간의 70%를 할애해 국내 와인 전문점 중 최대 규모인 1322㎡(약 400평)로 구성돼 총 4000여종의 와인을 판매한다
희비가 엇갈리는 국내 와인 시장
현재 소비자들의 와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국내 와인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입니다.업계에서는 올해 와인 예상 수입액이 4,772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 나아가 전문가들은 현행 주류법은 전통주를 제외한 주류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비롯한 오프라인 매장이 와인 사업을 꾸준히 확장해나갈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대기업의 와인 시장 진출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현재 대형 유통사들은 대부분 기존에 국내 중소 와이너리가 보유하고 있던 와인의 판권을 구매하거나 재계약을 따내는 방식으로 와인을 유통하고 있는데요.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대기업이 와인 유통시장을 지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나아가 국내 대형 유통사들이 수입 와인에 집중된 사업을 운영하고 있어 국내 와인 양조장들이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바라봤습니다. 홈플러스는 올해 50만원 이상 고가 와인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00% 증가했다고 밝혔는데요. 와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프리미엄 와인을 찾는 소비자들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와인 고르는 법
와인은 포도로 만든 술을 통칭하는 말인데요. 적포도로 만들면 레드와인, 청포도로 만들면 화이트와인*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xJjj/btroVjQLrTJ/ArfL3GfNtbnfziF0KnhveK/img.jpg)
왕초보 와인 고르기, 이것부터!
스파클링 와인은 탄산이 있고, 단맛이 도는 것도 많아 초보자에게도 거부감이 없다고 하는데요. 레드와인의 경우 탄닌 성분이 있어 떫은 맛이 나기도 하지만, 스파클링이나 화이트와인은 탄닌이 거의 없어 마시기가 수월합니다.
품종마다 맛과 향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화이트와인의 경우 샤도네이 품종이, 레드와인의 경우 피노누아 품종이 큰 거부감없이 맛있게 느껴진다고 하죠. 만약 블렌딩된 와인(레드)을 고를 때는 메를로 품종이 블렌딩된 와인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와인, 어떻게 마셔야 할까?
![](https://blog.kakaocdn.net/dn/HGIU7/btro8wgeJNn/lz4GSE3m0SKOqarg9qESS0/img.jpg)
당연한 이야기지만, 와인은 반드시 와인잔에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와인의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을 더 잘 느낄 수 있도록 적합한 와인잔의 종류도 다른데요. 스파클링의 경우 기포가 올라오는 것이 잘 보이는 길고 좁은 잔이, 레드와인의 경우 향과 풍미가 잘 느껴지는 볼록한 잔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파클링 와인과 화이트 와인은 차게(6~10℃), 레드와인은 약간 차거나(13℃) 실온(15~18℃)에서 보관한 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레드와인은 개봉 즉시 마시기 보다, 조금 시간을 두고 마시면 풍미를 더 잘 느낄 수 있다고 하죠.
'www > 뉴스,세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거니즘(Veganism·채식주의) 라이프스타일 (0) | 2022.05.20 |
---|---|
터키 리라화 폭락 사태 (0) | 2021.12.30 |
TV시장 새로운 트렌드, 라이프스타일TV (0) | 2021.12.23 |
쿠팡 중저가 패션 시장_VS 카카오패션 '포스티', '퀸잇' (0) | 2021.12.22 |
금리인상 사이클 속 향후 미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흘러갈까?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