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262

제2장 수요와 공급 1. 수요의 개념 □ 개별수요(individual demand)와 시장수요(market demand) • 개별수요 • 시장수요 2. 수요량과 가격 □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 수요의 법칙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 소득효과(Income Effect) □ 수요법칙을 무시한 사례: 저작권 피해 추산 과장 • 미국음반협회(RIAA: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3. 수요표와 수요곡선 □ 수요표 다양한 가격에서 구매된 영화티켓 수 가격 6달러 8달러 10달러 12달러 14달러 수요량 90,000 80,000 70,000 60,000 50,000 4. 수요의 가격탄력성 •η(d)= 수요량변화율/ 가격.. 2022. 3. 22.
제1장 미디어 경제학:도입과 개관 1. 미디어/콘텐츠 경제학의 정의 미디어 콘텐츠를 상품으로 간주하고 이러한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의 작동원리를 경제학적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 미디어 콘텐츠 및 산업이 지닌 사회적 및 문화적 측면을 감안한 분석 2. 미디어/콘텐츠 경제학의 질문들 질문1: 스크린쿼터제가 적합한 정책인지를 다른 정책과 비교하여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가? (1장: 도입과 개관) 질문2: 저작권 침해로 인한 콘텐츠의 피해액이 과장된 것을 어떻게 알아낼 수 있는가? (2장: 수요와 공급) 질문3: VOD 이용은 영화 관람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는가, 혹은 증가시키는가? 질문4: 국내에서 왜 LINE보다 kakaotalk의 가입자가 더 많은가? 그리고 왜 계속 kakaotalk의 우위가 유지되고 있는가? (4장: 소비자행동).. 2022. 3. 22.
SQLD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1.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모델링의 특징 (현실세계) ->추상화 단순화 정확화 -> (모델) 모델링의 특징 추상화: 현실세계의 일정한 형식에 맞춰 표현 단순화: 복잡한 현실세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명확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애매모함 제거, 정확하게 현상 기술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데이터 관점(what, Data)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간의 관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델링하 방법 프로세스 관점(How, Process) : 업무가 실제로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프로세스의 상관관점(Interaction)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데이터 모델이 제공하는 기.. 2022. 3. 22.
SQLD 활용도, 쓸모, 접수, 기출, 요약 sqld 얼마나 활용도가 높을까 생각보다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분석에서 sqld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산점을 많이 부여하는 추세이며, 실제로 많은 대학생들이 이를 위해 sqld 시험을 준비하고, 실무자들도 그렇기에 sqld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추세로 보여집니다. 활용기업 리스트-업데이트(공부하는웅이) 약 400여개 주요 대기업 :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삼성SDS, LG CNS, GS리테일, 신세계 등 주요 대기업, 신한응행,농협 등 주요 금융권 및 제 3금융권, 신문사, 병원, IT 스타트업, 한전 등 공기업 등 데이터를 다루는 대부분의 기업을 총망라하고 있습니다(불펌 금지) 농협정보시스템 /여행신문/이투데이/한국 리서치/한국인프라/GS 리테일/ IBK 시스템/ KB 데이타시스템.. 2022. 3. 22.
4주차_MCN과 1인미디어 다양한 인문적 관점으로 게임을 분석하는 게임인문 토크쇼 'G식의밤'이 시즌2 행보를 시작한다. 17일 샌드박스네트워크(대표 이필성, 이하 샌드박스) 측은 자체 오리지널 'G식의밤 시즌2'가 오는 18일 오후 5시 유튜브를 통해 첫공개된다고 밝혔다. 'G식의 밤'은 출연진과 전문가 게스트가 경제, 역사, 과학, 예술, 종교 등 다양한 인문관점으로 게임을 분석하는 토크쇼 형식 예능으로, 누적 440만뷰를 기록하는 등 호평받았다. 이번 시즌2는 펀드매니저 출신 경제학자 유튜버 ‘슈카월드’의 슈카, 전 게임사 개발자 및 기획팀장 출신 유튜버 ‘G식백과’ 김성회,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과학자이자 과학 유튜버 ‘안될과학’ 궤도,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 곽민수 소장 등의 패널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문가 게스트와의 토크들로.. 2022. 3. 22.
미디어콘텐츠 시장 속 규모의 경제 콘텐츠 제작의 경우에는 규모의 경제가 영향을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에 여러분은 동의하십니다. 그리고 규모의 경제를 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요?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플랫폼이 시장을 장악하는 가운데 국내 콘텐츠 산업이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몸집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국내 영상 콘텐츠 시장은 CJ ENM, 종편, 지상파 채널 등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신규 제작비 투자 자본의 한계로 더는 내부적으로 시장 확장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 교수는 “콘텐츠 산업은 국내 영역에서만 머물러서는 안 되고 글로벌 시장에 참여해야 한다”며 “로컬(국내)과 글로벌이 서로 .. 2022. 3. 21.
728x90